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와인 맛을 표현하는데 도움되는 테이스팅 용어들


아로마 Aroma

원산지에 따라 서로 다른 개성을 보이는 포도의 향기를 의미한다. “프루티(fruity/과일향)”, “플로럴(floral/꽃향기)”, 그리고 허베이셔스(herbaceous/풀 또는 풀잎향) 등으로 표현한다.
오크 배럴 또는 병안에서 발효 혹은 숙성되는 과정에서 생성된 향인 부케(bouquet)와 구별된다.



균형감 balance

와인의 산도, 당도, 알코올, 탄닌 등 다양한 요소들의 조화로운 관계를 묘사하는 용어로 ‘finish(뒷맛)’과 함께 좋은 와인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다.
와인의 맛, 향, 부케 모두 균형감을 이루고 있어야한다.
산도와 탄닌의 요소가 조화로워야한다.

=맛,향,부케,산도,탄닌 모두가 조화로워야 균형감이 있다고 말한다.



부케 Bouquet

일반적으로 와인의 복합적인 향기를 일컫는다(숙성됨에서 나오는 향기가 부케이다)
포도 자체에서 나는 자연의 ‘aroma(아로마)’와는 달리, ‘부케’는 와인 제조과정에서 인위적인 여건에 의해 와인에 녹아든 향이다.
특정 와인이 발효 혹은 숙성되는 오크 배럴의 향도 ‘부케’에 포함되며, “너티(nutty/ 열매향)”, “스파이시(spicy/향신료향)”, 그리고 우디(woody/오크향) 등으로 표현된다.

좋은 와인일수록 부케의 향기가 좋다. 일반인은 부케향인지 아로마향인지 구분을 잘 못하지만 훈련한 사람들은 첫번째향에서 느껴지는 맛(첫맛) 과일,아로마라고 하고 입안에서 긴 여운을 가지고 있는 향을 부케라고 한다.



복합성 complexity

향기,맛,부케와 끝맛이 잘 조화되어 있을 때 복합성을 갖는다.
(오감을 만족시키는 수준이다) 복합성이 좋지 못하는 뜻은 밋밋하고 맛이 텅 비었으며 단조롭다는 뜻이다.



깊이 Depth

와인 맛이 풍부하고 복합적일 때 깊이가 있다고 한다.
깊이가 없다는 와인은 단조로우며 밋밋함



탄닌 Tannins

포도의 씨, 껍질, 그리고 줄기, 또는 오크(oak/참나무) 배럴이 갖고 있는 페놀(phenols) 성분으로, 와인을 생산하는 과정에서 와인에 자연스럽게 첨가되는 성분이다.
탄닌이 많은 경우, 덜 익은 감을 먹었을 때와 같이 입안이 마르고 혀끝이 텁텁한 느낌을 받게 된다.
탄닌은 방부제 작용을 하기 때문에 와인에 탄닌이 많이 함유된 경우, 쉽게 변질되지 않는다. 또한 탄닌은 와인의 맛을 복합적으로 만들어주는 중요한 작용을 하기도 한다.



과일향 Fruti Aroma

풍부할수록 좋은 품질이다.
숙성되면서 과일향이 사라지고 버섯, 나무 또는 흙향으로 변화되어 간다. 결국은 과일에서 나오지 않고 복합적으로 나오는 맛 부케에 가깝게 된다.



여운(뒷맛) Finish

와인의 뒷맛과 거기에서 얻어지는 즐거움을 의미한다.
와인을 다 먹고 입안에 남는 여운의 맛이다.
뒷 맛은 혀 뒤에 있는 감각기관에서 예민하게 느낀다. 코다리라고 한다.
와인의 맛은 마신 후 입과 목부분에 남는 맛과 향의 지속 시간(1caudalie/코달리 = 1 초)로 평가할 수 있다. 좋은 와인일수록 여운이 길다.
1코다리가 제일 낮으며 좋은 와인은 5~6코다리까지 간다.



풍부한 Opulent

입안에서 느껴지는 풍부한 향과 맛을 의미하는 용어. 지나치지 않을 정도로 적절하게 나는 경우에 사용하는 긍정적인 표현이다.



드라이 Dry

와인의 당도가 매우 낮음을 의미한다. 하지만 완숙된 과일향이 풍부한 와인의 경우, 실제로는 드라이해도 달게 여겨지는 경우도 있다.



다리 legs

와의 다리 또는 눈물이라고 한다.
와인을 잔에 따랐을 때 잔의 표면에 흘러내리는 무늬이다.
천천히 흘러내리면 표면장력(점도)가 좋다.(=좋은 와인이다)글라스를 흔들었을때 흘러내림이 금방 끝나면 점성이 낮다.



비단결와인 velvety( =실키하다)

부드럽게 느껴지고 깊은 맛을 내는 와인을 일컫는다
농축된맛이다
반대되는 용어는 거칠고 조잡스러운 맛이다



지속성 Lenght

피니쉬랑 비슷함. 와인을 삼킨 뒤 입안에 와인 맛과 향이 남아있는 시간. 시간이 길수록 좋은 와인이다



코 Nose

와인의 아로마와 부케를 지칭하는 용어.
와인의향과 부케를 두고 와인이 코를 가졌다고 한다





신맛 Acidity

와인에서 느껴지는 신맛의 정도를 가리키는 말.



떫은 Astringency

탄닌 혹은 산에 의해 느껴지는 맛의 감각을 의미한다. 땡감을 씹었을 때, 혹은 진한 홍차를 마셨을 때의 느낌과 비슷하다.



거친 Austere

과일향은 상대적으로 적고 산도나 탄닌이 지나치게 강하게 느껴질 때 이를 묘사하는 표현이다.



무게있는 Big

알코올 함량이 높은 풀 보디(full bodied)의 중후한 와인을 가리킨다.



쓴맛 Bitterness

저품질 와인에서 느껴지는 불쾌한 맛일 수도 있고, 충분한 숙성을 거친 후에는 풍부한 맛을 가질 와인이 아직 숙성이 덜 되었기 때문에 갖는 맛을 표현하는 용어다.



바디 Body

입안에서 인지되는 와인의 질감 혹은 무게감을 일컬으며, 알코올 함량에 따라 다르게 느껴진다. 일반적으로 알코올 함량이 높을수록 와인은 풀 보디(Full bodied)에 가까워진다.



버터리 Buttery

일반적으로 화이트 와인에서 감지되는 진하고 크리미한 맛 혹은 질감을 의미한다. 유산발효를 거친 샤르도네 화이트 와인이 이런 특성을 보인다.



시크러스 Citrus

귤, 라임, 레몬, 오렌지, 자몽 등 감귤류 과일의 향기와 풍미를 지칭하는 용어다.



닫힌 Closed

와인의 향기가 잘 드러나지 않는 경우를 표현할 때 사용되는 용어. 향이 없다는 의미보다는 향이 가려져있다는 의미로 사용된다.



거친 Coarse

힘있지만 거친 와인. 탄닌이 강하며, 반드시 맛이 없다는 의미는 아니지만, 그렇다고 고급 와인을 의미하지도 않는다.



오염된 Corky

잘못 제작된 코르크 때문에 와인에서 젖은 마분지 또는 케케묵은 곰팡이 냄새가 나는 경우. 이런 경우에는 와인을 구매한 곳에서 반품 또는 교환을 요청할 수 있다.



흙냄새 Earthy

흙이 젖었을 때 나는 쿰쿰한 냄새, 젖은 잎처럼 축축한 냄새를 지칭하는 용어. 숙성이 잘 된 와인에서 나는 기분 좋은 향이기도 하지만, 오래된 와인 혹은 코르크에 오염된 와인에서 나는 좋지 않은 냄새이기도 하다.



쉬운 Easy

접근하기 쉬운 또는 마시기 쉬운 와인. 하지만 좋은 와인을 묘사할 때 사용되는 ‘accessible’과 달리 ‘easy’는 투자한 정도 만큼의 즐거움을 주는 저가의 와인을 묘사하는 데 주로 쓰인다.



육중한 Fat

마셨을 때 입안에서 묵직함이 느껴지는 진한 와인을 묘사하는 테이스팅 용어. 상대적으로 산도가 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플랫 Flat

신맛과 생동감이 떨어지는 와인을 일컫는다. 스파클링 와인을 ‘플랫’하다고 표현하면 탄산이 빠졌음을 의미한다.



프루티 Fruity

신선한 과실맛과 과실향을 머금은 와인을 뜻한다.



야금류의 Gamey

야금류에서 나는 특유의 향과 풍미가 감지될 때 사용하는 용어로, 향이 자극적이고 숙성 단계에 이르렀음을 의미한다. 버건디 레드와인에서 주로 발견되는 향으로 포도품종 중 하나인 Gamay(가메이)와 혼동해서는 안된다.



풋풋한 Green

숙성이 조금 더 필요한 와인을 지칭하는 용어.



거친 Hard

주로 탄닌이 지나치게 함유되었을 때 느껴지는 신랄함을 표현할 때 사용한다.



매우거친 Harsh

맛이 거칠다는 표현인 ‘coarse’ 혹은 ‘hard’ 보다 더 부정적인 테이스팅 용어.



미네랄감 Minerality

포도의 품종, 토양, 알코올 함량, 산도 등 다양한 원인이 결합되어 나타나는 향으로 젖은 시멘트 혹은 동전을 오래 쥐고 있을 때 손에서 나는 냄새와 비슷하다. 미네랄감이 더해진 와인은 좀 더 복합적인 맛을 낸다.



마우스필 Mouthfeel

‘입에 닿는 느낌’, ‘입맛’을 의미하며, ‘부드러운’ 혹은 ‘거친’처럼 입안에서 느껴지는 와인의 질감을 뜻한다.



오크향 Oaky

참나무 일종으로 만든 저장통 안에서 발효 또는 숙성된 와인에서 나는 오크 향을 뜻한다. 오크 나무가 갖고 있는 바닐린(vanillin)이라는 성분이 와인에 바닐라 향을 첨가한다. 오크통에서 생성되는 다른 향으로는 토스트, 캐러멜, 초콜릿, 타피, 코코넛 향 등이 있다.



스파이시 Spicy

아니스, 계피, 정향, 육두구, 후추 등의 향신료 향을 묘사하는 테이스팅 용어.



구성 Structure

산, 탄닌, 글리세린, 알코올, 당분이 와인의 감촉에 미치는 총체적 효과. 주로 맛의 구조가 단단할 때 사용되거나, 구조가 부족하다는 수식과 함께 사용한다.



담배 Tobacco

부케를 설명하는 테이스팅 용어로 주로 오크 배럴에서 숙성 시킨 보르도 와인에서 나는 담뱃잎과 같은 향을 묘사하는 데 사용된다.



바닐라 Vanilla

오크 숙성된 와인에서 감지되는 향이나 맛을 묘사하는 용어. 바닐라 향이 감지되면와인의 생산과정에서 오크가 사용되었음을 유추해낼 수 있다.



채소향 Vegetal

피망, 셀러리, 아스파라거스 등의 채소 풋내를 연상시키는 향을 지칭하는 테이스팅 용어. 와인의 좋은 맛에 추가적인 효과를 내는 것이 아닌 이상 그다지 좋은 향은 아니다.



우디 Woody

오크통에서 오랜 기간 숙성 보관된 와인에서 나는 나무 향과 맛.