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10)
와인잔 종류와 사용법 ◇ 와인잔 (보르도) (부르고뉴) 레드와인 잔/ 화이트 와인 잔/ 스파클링 와인잔 ◇ 와인 잔의 종류 • 보르도 레드 와인 잔 대개 레드 와인은 화이트 와인 잔보다 좀더 크며, 와인의 향기를 더욱 풍성하게 느낄 수 있도록 해준다. 보르도 레드 와인 잔은 전형적인 튤립 모양으로, 프랑스 보르도 스타일의 와인처럼 타닌이 강한 와인을 위해 고안되었는데, 타닌의 텁텁함을 줄이고 과일향과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글라스의 경사각이 완만하다. 와인이 혀끝부터 안쪽으로 넓게 퍼질 수 있도록 입구 경사각이 작으며 볼은 넓다. 또한 와인이 숨쉴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해 줌으로써 다양한 부케와 풍부한 아로마를 느낄 수 있게 해준다. • 부르고뉴 레드 와인 잔 부르고뉴 레드 와인 잔은 보르도 와인 잔보다 약간 짧고 뚱뚱하다. ..
와인오프너(종류) 없을때 대처 방법들 ◇ 오프너 종류 • T자형 오프너 T-wine screw • 소몰리에 나이프 Sommelie Kinfe • 윙오프너 Wing Screw • 래빗 오프너 Rabbit opener • 아소 오프너 Ah-so opener • 자동와인 오프너 Auto Wine opener ◇ 와인 오프너 없이 코르크 병마개 따기 ㅡ 가위나 칼 활용하기(안전 주위) 마땅한 공구도 없을 땐 가위나 과도, 주머니칼 등을 이용 - 가위나 칼을 코르크에 조심스럽게 박아 넣는다. - 와인병의 병목을 잡고 서서히 돌리면서 코르크(칼)를 들어올린다. - 코르크가 적당히 올라오면 손으로 코르크를 돌려가며 살살 뽑는다. (코르크에 칼날을 최대한 깊숙이 박아 넣는 것이 포인트) ㅡ 구두, 신발 등을 이용하는 방법 강약조절이 필요하고 난이도가 상...
화이트와인 레드와인 차이와 효능 화이트 와인은 포도로 만든 과실주의 일종으로 '백포도주'라고도 부릅니다. 와인은 색에 따라 레드와인(Red wine) 로제와인(Rose wine) 화이트 와인(White wine) 이 중 청포도 계열 포도로 제조되는 와인으로 프랑스어로 뱅 블랑(Vin Blanc)이라고 합니다. 화이트 와인은 청포도 품종으로 제조되지만, 드물게 적포도 품종으로도 만들어집니다 ◇ 레드와인 화이트와인 차이점 와인의 주재료는 포도이고 레드와인 화이트와인 모두 포도를 이용한다라는 점은 같으나 포도의 종류와 공정, 사용하는 부위 등에 따라 차이가 존재합니다. • 재료의 차이 화이트 와인은 청포도를 이용해서 만들어집니다. 포도씨와 껍질을 제거하고 과즙만으로 만들기 때문에 투명한 색깔이 되는 것입니다. 레드와인은 검은 포도를 이용해서..
레드와인의 효능과 부작용 포도는 비타민과 유기산.구연산.등의 각종 영양소가 풍부하다. 따라서 포도는 체질을 개선해 준다. 포도의 기본적인 효과는 채질개선이다. 포도는 몸안의 노폐물과 독성을 배출시키고 병든 세포를 제거하여서 깨어진 몸의 균형을 되찾아 준다. 포도의 해독작용은 우리 몸속의 독성을 제거하는 역할을 하는 간의 부담을 덜어 준다. ◇ 레드와인 효능 • 피부 노화 방지 레드와인은 제조할 때 여러 단계의 발효과정을 거친다. 특히 포도를 절이는 단계에서 폴리페놀과 같은 강력한 항산화제가 다량 함유된 여러가지 화학물질이 생겨나는데 이것이 피부노화방지에 탁월하다. • 혈액순환 촉진 레드와인의 페놀 화합물은 항산화작용과 혈소판 응집을 방해하고 콜레스테롤을 줄여주어 혈액의 흐름을 원활하게 도와준다. • 동맥 건강에 도움 레드 와인을..
와인 시음(음미법) 와인 시음에는 기본적으로 색보기, 스월링, 냄새 맡기, 맛보기, 음미 총 5단계로 구성됩니다. • 색 보기 흰 냅킨이나 식탁보에 와인잔을 대봅니다. 이때 화이트 와인의 경우 흐린 연두색에서 갈색으로 갈수록 오래된 와인이며 레드와인의 경우 심홍색에서 갈색으로 갈수록 오래된 와인이라 볼 수 있습니다. • 스웰링(잔 흔들기) 잔을 흔드는 이유는 와인에 산소를 공급하여 맛과 향이 더 발산되게 하기 위해서입니다. 즉, 와인을 공기 중에 노출시켜 더 많은 부케와 아로마를 발산시킵니다. 와인잔 위쪽에 손을 댄 상태에서 잔을 흔들어주면 부케와 아로마가 풍성하게 발산됩니다. • 냄새 맡기 가장 중요한 단계이나 많은 시간을 할애하지는 않습니다. 대표적으로 화이트 와인의 경우 샤르도네, 소비뇽 블랑, 리슬링, 레드와인의 경..
와인 라벨 읽는법들 원산지 알기 우선은 세계 와인 산지의 명칭을, 그것도 세밀한 지명까지 알아야 한다. 와인은 농산물이기 때문에 원산지를 중요시한다. 와인이란 포도 그 자체가 변한 것뿐이라서 포도의 품종에 따라 그 특성이 결정되며, 같은 품종이라도 재배지역에 따라서 맛이 달라지는 것은 지극히 당연한 일이다. 와인 라벨에는 원산지가 꼭 표시되며, 와인을 잘 아는 사람들은 원산지만 봐도 그 와인이 어떤 것인지 금방 안다. 수확한 시점 알기 포도를 수확한 연도(Vintage)가 표시된다. 아무리 좋은 포도를 이름난 포도밭에서 재배하더라도 날씨가 나쁘면 좋은 와인을 만들 수 없다. 포도는 일조량이 풍부하고 강우량이 비교적 적어야 당도가 높고 신맛이 적어지며 색깔도 짙어진다. 날씨에는 변수가 많으므로 유명산지의 와인이라 해도 미식가..
(와인)디캔딩 브리딩 스월링 에어링 • 디캔팅 decanting 오래된 와인 (특히 레드 와인)은 와인 병 내부에 침전물이 많이 생깁니다. 이 침전물을 거르기 위해 병을 세워서 안정시켜 침전물을 바닥으로 가라앉힌 뒤, 윗 부분의 맑은 액체만을 별로의 용기에 옮겨담고 이 용기로 서빙을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옮겨 담는 용기가 디캔터(decanter)이고, 옮겨담는 행위를 디캔팅(decanting)이라고 합니다. 디캔터를 쓰게 되면 개봉한 병 상태로 둘 때에 비해서 액체 표면적이 넓기 때문에 단시간에 더 많은 산소가 유입되어 이런 현상이 더 빠르게 일어납니다. 그래서 침전물이 없는 젊은 와인이라도 향이 잘 안 열리는 상태 (소위 닫혀있고 표현)라면 디캔팅을 한 뒤에 브리딩하기도 합니다. 섬세하거나 파워가 약한 와인을 잘못 디캔팅하면 너무 ..
레드와인 보관법 먹다남은 와인 보관법 와인 보관법 (Preservation of Wine) 와인의 숙성이 최고조에 달하면 레드 와인은 벽돌색, 화이트와인은 진한 황금색을 띤다. 그러나 부패되기 시작하면 갈색으로 색상이 변할 뿐만아니라 강한 알코올 냄새나 나무통, 코르크 냄새가 난다. 와인을 보관할 때는 세심한주의를 요하는데 와인은 12~15도의 상온에 직사광선이 들지 않고 진동이 없는 곳에서 보관한다. 장기 보관할 때에는 병을 뉘여 코르크 마개가 젖게 하는 것이 포인트. 마른 코르크 마개의 미세한 구멍 사이로 공기가 들어가 산화되는 것을 막기 위함이다. 한번 개봉한 와인은 가급적 남기지 않고 다 마시는 것이 좋다. 어쩔 수 없이 먹고 남은 와인을 보관하고자 할 때에는 작은 병에 옮겨 담아 공기와의 접촉을 적게 한다. 먹다 남은 와인을 코르크..
와인 맛을 표현하는데 도움되는 테이스팅 용어들 아로마 Aroma 원산지에 따라 서로 다른 개성을 보이는 포도의 향기를 의미한다. “프루티(fruity/과일향)”, “플로럴(floral/꽃향기)”, 그리고 허베이셔스(herbaceous/풀 또는 풀잎향) 등으로 표현한다. 오크 배럴 또는 병안에서 발효 혹은 숙성되는 과정에서 생성된 향인 부케(bouquet)와 구별된다. 균형감 balance 와인의 산도, 당도, 알코올, 탄닌 등 다양한 요소들의 조화로운 관계를 묘사하는 용어로 ‘finish(뒷맛)’과 함께 좋은 와인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다. 와인의 맛, 향, 부케 모두 균형감을 이루고 있어야한다. 산도와 탄닌의 요소가 조화로워야한다. =맛,향,부케,산도,탄닌 모두가 조화로워야 균형감이 있다고 말한다. 부케 Bouquet 일반적으로 와인의 복..
와인의 종류 여섯가지(화이트, 로제, 레드 ,스파클링, 디저트, 강화) - 와인 포도즙을 발효시켜 만든 술. - 와인의 종류는 포도의 품종 과 제조 과정 에 따라 분류됩니다. - 와인의 색깔에 따라 화이트 와인과 레드 와인으로 나눕니다. 조금 더 구분한다면 요즘 인기 높은 로제 와인 또는 핑크 와인도 분류의 기준으로 삼을 수 있습니다. 더 세분한다면 스파클링 와인, 디저트 와인, 그리고 강화 와인을 더해서 와인을 모두 여섯 종류로 구분합니다. 1. 화이트 와인 (white wine) 2. 로제 와인 (rosé wine) 3. 레드 와인 (red wine) 4. 스파클링 와인 (sparkling wine) 5. 디저트 와인 (dessert wine) 6. 강화 와인 (fortified wine) □ 와인의 6종류 • 화이트 와인 (white wine) 화이트 와인은 모든 색깔..